1. 나당 연합의 결성 : 신라의 외교적 전략과 당나라의 지원
통일신라의 대업은 단순히 군사적 힘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습니다.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의 압박 속에서 생존을 모색하며 외교적 역량을 최대한 발휘해야 했습니다. 특히, 신라의 외교 전략은 당시 한반도의 정치적 상황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국제 정세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한 것이었습니다. 7세기 중반,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의 연합 공격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백제는 신라 서쪽 지역역을 위협하며 국경 분쟁을 일으켰고, 고구려는 북쪽에서 강력한 군사력으로 신라를 압박했습니다. 당시 신라는 내부적으로도 혼란을 겪고 있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홀로 삼국을 상대하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신라는 외부 세력의 도움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었고, 이 과정에서 김춘추라는 인물이 중요한 역할을 맡았습니다. 김춘추는 신라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백제, 고구려와 각각 협상하려 했으나 실패했습니다. 결국 그는 당나라에 도움을 요청하기로 결정했고, 직접 당나라로 가서 외교적 교섭을 진행했습니다. 김춘추는 당나라 황제에게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의 공격으로 국가 존립이 위태로운 상황임을 알렸고, 당나라가 신라를 도와 삼국 통일을 이루면 동아시아에서 당나라의 영향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설득했습니다. 당나라 역시 이러한 제한을 받아들일 이유가 충분했습니다. 당나라는 당시 동아시아에서의 패권을 강화하기 위해 고구려를 견제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특히 고구려는 수나라와 당나라의 침략을 모두 물리칠 정도로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한 국가였기 때문에, 이를 약화시킬 기회로 신라와의 동맹을 선택한 것입니다. 나당연합이 성립된 이후, 당나라는 신라에 병력과 무기를 지원했습니다. 신라는 당나라의 선진적 무기 기술과 군사 전술을 받아들여 국력을 강화했습니다. 동시에 당나라와의 동맹을 백제와 고구려를 상대로 우위를 점할 수 있었습니다. 당나라의 선진 문물은 신라의 사회적, 경제적 기반을 더욱 탄탄히 만들었으며, 이러한 기반은 삼국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나당연합은 단순히 신라에 유리한 동맹만은 아니였습니다. 당나라는 신라를 돕는 대가로 한반도 북부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요구했고, 이는 나중에 신라와 당나라 간 갈등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갈등은 이후 나당전쟁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당시 신라는 당나라의 도움없이는 삼국 통일이라는 대업을 이룰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2.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 삼국 통일을 향한 결정적 전투들
660년, 나당연합군은 삼국 통일의 첫 번째 단계로 백제를 공격했습니다. 당시 백제는 의자왕이 집권하고 있었는데 의자왕의 정치적 실책과 백제 내 내부 분열은 나당연합군의 공격을 막기 어려운 요인이 되었습니다. 나당 연합군은 대규모 병력을 동원해 백제를 공격했으며, 전쟁의 하이라이트는 황산벌 전투였습니다. 이 전투는 백제의 명장 계백과 신라의 김유신이 지휘한 군대 간의 치열한 전투로, 삼국 통일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전투 중 하나로 평가 받습니다. 계백은 백제의 운명을 걸고 5천 결사대를 이끌고 신라군과 맞섰습니다. 그는 신라군의 대규모 병력을 상대로 용맹하게 싸웠지만, 신라군의 수적 우위와 전략적 전술을 극복할 수 없었습니다. 계백은 최후까지 싸우다가 전사했으며, 이로써 백제의 운명은 결정되었습니다. 황산벌 전투에서 승리한 나당연합군은 백제의 수도 사비성을 공격했습니다. 사비성은 백제의 정치적,군사적 중심지였지만, 이미 황산벌에서 병력을 소모한 백제는 사비성을 방어할 힘이 없었습니다. 결국 나당연합군이 사비성을 함락시키고 의자왕을 생포하면서 백제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백제가 멸망한 후, 승리한 나당연합군의 다음 목표는 고구려였습니다. 고구려는 백제와 달리 여전히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내부 권력 다툼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점차 약화되고 있었습니다. 특히 고구려를 이끌던 연개소문이 사망한 이후, 고구려는 내부 분열이 심화되었고, 이는 나당연합군이 고구려를 공략하는데 유리한 환경을 제공했습니다. 668년, 나당연합군은 대규모 공세를 통해 고구려를 공격했고, 결국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이 함락되었습니다. 고구려의 마지막왕 보장왕은 항복했고, 이로써 고구려도 멸망했습니다.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은 신라가 삼국 통일을 이루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단계였습니다. 나당연합군의 압도적인 군사력과 신라의 치밀한 전략이 결합되면서 신라는 한반도의 패권을 차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당나라가 한반도에 대한 지배 야심을 드러내면서 새로운 갈등이 시작되었습니다.
3. 나당전쟁의 반발 : 통일신라가 직면한 새로운도전
삼국 통일 이후 신라는 한반도에서의 독립적인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습니다. 당나라는 삼국 통일 과정에서 신라를 도왔지만, 통일 이후에는 한반도를 자신의 영향력 아래 두려는 의도를 드러냈습니다. 당나라는 백제와 고구려의 옛 영토에 각각 웅진도독부와 안동도호부를 설치하며 직접적인 통치를 시도했습니다. 이는 신라가 한반도 전역을 통치하려던 계획에 심각한 위협이 되었습니다. 신라는 이러한 당나라의 간섭을 용납할 수 없었고, 결국 나당전쟁으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676년, 나당전쟁의 결정적 순간인 매소성 전투와 기벌포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매소성 전투는 신라와 당나라 육군간의 대규모 전투로, 신라군이 당나라군을 격파하며 승기를 잡았습니다. 이 전투에서 신라는 지형을 활용한 방어 전술과 철저한 전쟁 준비를 통해 당나라군을 물리쳤습니다. 이어진 기벌포 전투는 신라와 당나라 해군 간의 전투였습니다. 이 전투에서 신라는 당나라의 해군을 완전히 괴멸시키며 나당전쟁의 승리를 확정 지었습니다. 기벌포 전투의 승리는 신라가 한반도에서 외세의 간섭을 배제하고 독립적인 통일국가로 자리 잡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나당전쟁의 승리는 신라의 군사적 성공뿐만 아니라 외교적, 정치적 역량을 보여준 사례였습니다. 이후 신라는 당나라와의 관계를 재정립하며 외교적 안정을 유지했고, 이를 바탕으로 통일신라 시대의 번영을 이루었습니다. 나당전쟁은 신라가 삼국 통일의 완성을 넘어 독립적인 국가로 자리 잡는 데 결정적 기여를 했습니다.